이번 긴 설 연휴 동안 “객체에서 함수로” 책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Kotlin을 사용하여 함수형 패러다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Kotlin은 JetBrains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Google은 Android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공식 지원하고 있으며, 크로스 플랫폼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Android와 iOS 외에 Web과 Desktop 등을 지원(KMP) 하는 언어입니다.
많은 모던 언어들이 그렇듯 서로의 좋은 기능들을 도입해가며 비슷하게 발전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Kotlin은 간결한 문법과 다양한 언어적 기능들을 제공하고 여러 플랫폼에서 활용 가능한 전도유망한 언어이며 함수형 패러다임을 학습하기 위해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언어입니다.
함수형 패러다임을 처음 알게 된 건 2014년 Modern Java로 불리는 Java 8의 출시와 함께 Functional Interface가 도입되며 Lambda Expression와 같은 문법을 지원하기 시작했을 때였고, 이 즈음 즐겨 듣던 팟캐스트 “나는 프로그래머다”에서 Scala 언어와 함께 함수형 언어의 매력과 장점을 소개하는 에피소드를 통해 함수형 패러다임을 접하게 됐습니다.
호기심이 생겨 찾아보니 Scala 외에도 순수 함수형 언어라 불리는 Clojure 나 Haskell, 그리고 이 책의 메인 언어 Jetbrains에서 만든 Kotlin도 이때 접하게 됐습니다.
시간이 흘러 최근 다시 Kotlin과 함수형 패러다임을 학습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해왔기 때문에 함수형 패러다임이 조금은 생소하고 어색하지만 알아갈수록 함수형 패러다임의 많은 부분들이 매력적으로 느껴졌고 당장 실무에 적용할 순 없더라도 조금 더 숙련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습니다.
"객체에서 함수로" 일독 후 함수형 패러다임이 조금은 어렵지 않게 느껴집니다.
다만 "객체에서 함수로"는 Kotlin 입문서 아니며 일면 코프링이라 불리는 Kotlin을 활용한 Spring Framework 도서도 아닙니다.
함수형 언어의 일부 기능만 사용해서는 함수형 디자인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없습니다.
이 책을 통해 여러 상황 별 예제로 함수형 코드를 전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함수형 사고로 생각하고 함수형 패러다임을 익힐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책을 다 읽은 뒤에는 분명 전보다 함수형 패러다임과 가까워져 있을 겁니다.
Kotlin 학습한 지 오래됐거나,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부록부터 읽고 책을 읽으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함수형 패러다임이 아닌 Kotlin을 학습하고자 한다면 "코틀린 완벽 가이드" 와 "아토믹 코틀린" 도서를 추천합니다.
본 리뷰는 출판사 “길벗”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됐습니다.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리뷰] 러스트 서버, 서비스, 앱 만들기 (0) | 2024.05.28 |
---|---|
[도서리뷰] 아토믹 코틀린 (0) | 2023.04.10 |
[도서리뷰] 거니의 문과 감성 실용 파이썬 (0) | 2023.02.08 |
[도서리뷰] Do It! 모던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의 정석 (0) | 2023.01.29 |
[도서리뷰] 누구나 할 수 있는 유니티 2D 게임 제작 (0) | 2022.10.11 |